반응형 강의54 해커맨 파이썬 강의 7강_자료형이란 무엇인가_숫자 저번 강에서는 자료형에 대한 개념과 문자열과 문자열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강에서는 숫자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숫자란 무엇인가 파이썬에서의 숫자는 -3, -2, -1, 0, 1, 2, 3과 같은 정수와 3.14, 1.31과 같은 실수를 의미합니다. 소수점이 있는 숫자 배열이면 실수, 소수점이 없는 숫자 배열이면 정수입니다. 문자열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사용해서 만들었지만, 숫자는 이런것들이 필요 없습니다. 2. 숫자 연산자 숫자 연산자는 숫자 자료형을 처리하는 연산자로, 대표적으로 사칙 연산자가 있습니다. 사칙 연산자에는 +, -, *, /가 있습니다. +는 더하기, -는 빼기, *는 곱하기, /는 나누기입니다. 여기까지는 기본적인 사칙 연산자이기에 쉽습니다만, 조금 낯선 .. 2019. 9. 5. 해커맨 파이썬 강의 6강_자료형이란 무엇인가_문자 이번 강에서는 자료형에 대한 개념과 문자열과 문자열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자료형(Data Type)은 자료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Hackerman, 파이썬, 0131, 3.14 여러분들은 위에서 뭐가 문자이고 뭐가 숫자인지 구분할 수 있으신가요? 아마 쉽게 구분하실 수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뭐가 숫자이고 뭐가 문자인지 스스로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컴퓨터가 자료의 형태를 구분하려면 프로그래머가 직접 지정해줘야 합니다. 파이썬에서 자료형은 크게 문자열(String), 숫자(Number), 불(Boolean)로 나뉩니다. 문자형(String)은 영어나 한글과 같은 문자나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숫자(Number)는 자연수나 실수와 같은 숫자로 구성된.. 2019. 9. 1. 해커맨 파이썬 강의 5강_주석이란 무엇인가 이번 강에서는 주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석은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것이므로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1. 주석이란 무엇인가 여러분들은 [주석]이라는 단어를 보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국 주석을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화학전공자이신 분들은 주석 원자(Tin)를 생각하실 수도 있죠. 프로그래밍에서의 주석(Comment)은 메모의 역할을 합니다. 기업과 같이 규모가 큰 프로그램을 만드는 곳에서는 여러 사람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공유하여 코드를 작성해야합니다. 이렇게 코드를 공유하며 작성할 때 주석을 안쓰면 누가 어떤 부분을 왜 작성했고, 수정했는지를 모르게 될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여러 사람이 노트 한 장에 동시에 낙서를 하면 노트가 뒤죽박죽이 되는 .. 2019. 8. 15. 해커맨 파이썬 강의 4강_출력 part2 지난 강에서 print 함수를 이용해 간단한 문장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강에서는 출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1. 여러 가지를 한 번에 출력하기 지난 강에서는 print(100), print("hackerman")와 같이 하나의 출력 값만 출력해봤습니다. 이렇게 하나씩 출력을 해도 되지만, 여러 가지 출력 값을 한 번에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값을 출력하는 방법 print(출력값1, 출력값2, 출력값3, ...) 이렇게 쉼표(,)로 구분해주면 여러 개의 출력 값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자료형과 상관없이 다양한 값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2. 개행문자 개행문자는 행을 바꾸는 문자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엔터를 누르는 효과가 있는 문자라고 .. 2019. 8. 11. 이전 1 2 3 4 5 6 7 8 ··· 14 다음 반응형